IT
-
[CI/CD] jenkins에서 django에 대한 자동화 [3]IT 2025. 2. 5. 11:41
이번에는 django backend 코드의 테스트 코드를 jenkins에서 자동으로 돌리기 위해서 설정을 할건데요. 이번에도 삽질을 많이 했어요. 일단.!django에 대한 테스트 코드를 돌리기 위해서는 docker in docker 라는 것을 해야한다고 하더라구요.왜냐하면.! jenkins 서버가 지금 docker container로 돌려지고 있고, 그 안에서 docker로 이루어진 django 프로젝트의 테스트 코드를 돌려서 테스트를 해야하기 때문에~ 설정을 해야합니다.그래서 docker를 run 할때 특정 조건을 더 넣어줘야하는데요 sudo docker run -d \ --name jenkins-server \ # 본인이 실행할 docker container 이름 --u root \ # ..
-
[CI/CD] GitHub Webhook을 연결하기 위한 IP 변환하기 [2]IT 2025. 1. 21. 17:21
자 이제 자동화를 위한 세팅을 진행해봅시다. 1. GitHub에 접속해서 연결한 Private Repository로 이동합니다.거기에 setting에 가면 webhook이 있는데 클릭 후 add webhook을 클릭 그럼 이제 payload url에 http://:8090/github-webhook/ 을 작성content type은 application/json으로 하고,Secret은 입력 안해도되고SSL verification은 Enable SSL verification그리고 웹훅 어떤 이벤트로 트리거할거예요? 는Just the push event로 해줍니다. 그리고 Active를 check 후 저장그러면 이제 빨간 색 경고 문양이 보이고, redelivery를 해도 연결이 안된다고 할겁니다. 개빡쳐..
-
[CI/CD] Synology Nas에 Jenkins를 설치하고, GitHub을 연동하자 [1]IT 2025. 1. 21. 16:54
일단 하려는 것이 무엇인지 설명하겠습니다.GitHub의 main branch에 직접적으로 코드가 PUSH되거나 아니면 다른 branch에 의해서 main branch로 코드가 MERGE되면, 그것을 인식해서 Webhook으로 Jenkins로 변화에 대해서 전달하고, 이후 Jenkins에서 자동적으로 코드 변화를 Build하는 그런 것을 하고 싶어서 했습니다. 여기서 GitHub Repo의 종류는 Private Repository 입니다. 1. GitHub Private Repository 만들기저는 connect_jenkins라고 만들어줬습니다. 2. Profile 눌러서 setting가서 Developer settings로 갑니다.그러면 Personal access tokens라고 나오는데, 여기서 T..
-
[JS] DOM의 개념과 DOMContentLoaded와 onload 이벤트IT 2024. 12. 26. 09:43
DOM 이란?DOM은 Document Object Model의 약자 입니다.문서 객체란 이나 같은 html 문서의 태그들을 JavaScript가 이용할 수 있는 객체로 만들면 그것을 문서 객체라고 합니다. DOMContentLoaded브라우저는 DOM 트리 구성을 위한 HTML 파싱 -> 스타일과 HTML 규칙이 포함된 렌더 트리 구축 -> 렌더 트리를 정해진 순서대로 배치 -> 배치한 렌더 트리 화면에 그리기 의 렌더링 과정을 거친다.일반적으로 브라우저는 HTML 파싱하는 도중 스크립트 구문을 만나면 파싱을 잠시 멈추고 스크립트를 실행한다.이러한 브라우저의 동작 때문에 HEAD요소에 있는 SCRIPT 파일은 BODY 요소보다 먼저 읽히게 되어 문제가 발생 DOMContentLoaded 이벤트는 HTM..
-
[Linux] 기초부터 파이썬 파일 crontab 실행 및 로그 확인까지IT 2024. 11. 27. 16:12
안녕하세요.! 다시 처음 기초부터 Linux를 공부하는 중인데요.!가장 기본적인 계정 생성부터 해볼게요.! 일단은 접속을 하면 기본적인 화면 whoami 라는 것을 통해서 현재 계정이 어떤 계정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adduser -m -s /bin/bash (계정이름) 를 통해서 유저를 생성할 수 있는데요.-m을 통해 사용자의 홈디렉터리를 생성하고-s /bin/bash 사용자에게 기본 셀을 설정합니다.그 이후 passwd (계정이름) 을 통해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grep은 텍스트 검색 기능을 합니다.!/etc/passwd를 사용해서 계정이 생성됐는지 학인할 수 있습니다./etc/passwd 파일은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중요한 파일입니다. 그 후 sudo 그룹에 속한 사용자에게..
-
-
python pdf reportlab과 Blob URLIT 2024. 8. 13. 17:45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백엔드에서 데이터 기반으로 PDF 파일 직접 만들어서 보여줄 일이 생겼다.PDF 파일은 생성 후 AWS에 저장하여 보여주는 것이 아닌 바뀐 정보도 바로바로 반영되서 보여줘야하기 때문에저장하지 않고, 테이블에 대한 데이터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만들어서 보여준다. 그래서 python의 pdf를 만들기 위해 reportlab이라는 package를 사용했다. (매우 유용)노다가 작업을 통해 정상적으로 만들었지만 한가지 문제가 발생한다.그 문제는 api를 통해 pdf를 chrome browser에서 열었지만 다운로드할 때,파일명이 999d8c08-dd53-4a2e-9c25-dc2358a24c6a 이렇고url은 blob:https/my_domain/999d8c08-dd53-4a2e-9c25-dc2..